하드웨어 > 리뷰

에즈윈, 당당한 하이엔드 메인보드 ASRock Z77 Extreme 6

/ 1
익스트림 브랜드로 거듭난 에즈락(ASRock)에서 선보이는 인텔 7-시리즈!



명불허전 연구소라는 별칭으로 메인보드 시장에 혜성처럼 등장한 이후, 지금까지 가장 눈부신 발전을 이룬 메인보드 제조사를 꼽으라면 단연 에즈락을 들 수 있다.

한 때 트리플A로 불렸던 아수스, 에이오픈, 알바트로스에서 성공적으로 세대교체에 성공한 ASUS와 함께 더블A 패밀리로 아수스와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 에즈락. 이제는 아수스보다 독립회사로 분사한 페가트론의 지분과 비례하듯 퍼포먼스, 익스트림급 제품들을 선보이며 성공적으로 프리미엄 라인업에 안착하고 있다.

여전히 iT업계 전반에 걸쳐 프리미엄 제조사의 입지를 지키고 있는 프리미엄 제조사, 아수스의 엔지니어들이 포진하고 있는 만큼 품질과 사후지원은 청출어람이라고 할 만큼 충실하다. 일부 가격대 성능비 위주의 브랜드들의 약점인 빈약한 바이오스와 드라이버 지원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인텔 4, 5시리즈로 시동을 걸고, 6-시리즈에서 가속 페달을 밟아 가속에 탄력이 붙은 에즈락의 행보는 아직도 때가 덜 묻은 순수한 열정이 엿보이는 듯 하다.



프리미엄 브랜드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자체적인 기술력을 한껏 적용시킨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는데 가만히 있을 에즈락이 아니다.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555XFast라는 신기술을 대동하고 나선 에즈락 라인업, 이번 지면에서 Z77 익스트림 6 모델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에즈윈, ASRock Z77 Extreme 6, 인텔 7-시리즈 메인보드
ASRock Intel 7-series Motherboard

제조사 ASRock
공급사 (주)에즈윈 (02-718-0933)
메인보드 사양 (Motherboard Specification)
프로세서 소켓
Intel LGA 1155
(Intel 22/32nm 프로세서 지원)
메모리 소켓
4개, 최대 32GB 지원, XMP 지원, 듀얼채널 지원
DDR3 OC,[2800+/2400/2133/1866] 1600/1333/1066
칩셋
Intel Z77 Express Chipset
전원부
디지털PWM 8+4, 골드 솔리드 캐패시터(루비콘)
PCIe 슬롯
PCI-Express Gen.2 1x (1배속)
PCI-Express Gen.3 16x (16배속)
구형 레거시 PCI
PCI-Express Gen.3 16x (8배속)
구형 레거시 PCI
PCI-Express Gen.2 16x (4배속)
저장장치
SATA3 6.0Gb/s 4(2+2)개, SATA2 3.0Gb/s 4개
USB
외부 : USB3.0 4개, USB2.0 2개
내부 : USB3.0 1개, USB2.0 2개
사운드
Realtek ALC 898 High Definition Codec
LAN
Broadcom BCM57781 Gigabit Ethernet
기타 입출력 포트
PS/2 (1개), RJ-45 (1개), D-Sub (1개) USB2 (2개)
SL DVI-D (1개), HDMI (1개), Display Port (1개)
USB3 (4개), IEEE1394 (1개), eSATA (1개)
Audio (6개)
폼팩터
일반 ATX
기타 특징 (Special Feature)
멀티 GPU
NVIDIA SLI, AMD CrossFireX
BIOS 타입
UEFI 방식
편의기능
온 보드 시스템 버튼, 백패널 CMOS 클리어 버튼
온 보드 DebugLED
가격 249,000원 (2012년 4월 10일, 다나와 최저가 기준)
보증기간 3년 무상
ASRock Z77 Extreme 6, 레이아웃 살펴보기 #1



에즈락의 최신 라인업은 크게 보급형(엔트리), 고급형(퍼포먼스), 전문가용(게이밍)으로 나뉘어지고, 컴포넌트 색상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에즈락 Z77 익스트림 6은 고급형에 속하는 라인업으로 탄탄한 시스템 안정성을 요구하는 오버클러커들이나 준 프로게이머 수준의 실력을 갖춘 유저들을 위한 제품이다.

익스트림(Extreme) 라인업은 iT제품의 프리미엄을 대변하는 블랙 컬러와 메인보드 곳곳에 배치된 에즈락 전용 캐패시터의 골드 컬러의 투톤 색상으로 이루어진다. 에즈락의 익스트림과 페이탈리티 제품군에 적용되는 골드 캐패시터는 보편적인 캐패시터보다 내구성을 높였다.

전문가용, 게이밍 라인업으로는 페이탈리티(Fata1ity) 시 리즈가 있으며 익스트림과 품질은 비슷하지만 보다 화려한 레드 컬러로 포인트를 넣은 튜닝용 게이밍 기어 제품이라고 볼 수 있다.

보급형의 경우 프로(Pro) 라인업이 주축이 되어 구성을 간소화 하고 전용 골드 컬러 캐패시터 대신 보편적인 솔리드 캐패시터를 써 가격을 잡는데 주력한 라인업이다.



오버클럭을 시도할 때 메인보드 컴포넌트 중 가장 발열이 심해지는 전원부, 그 중에서도 MosFET의 냉각을 위해 방열판을 얹었다. 눈에 띄는 것은 방열판 고정을 푸쉬-핀이 아닌 볼트 고정 방식으로 채택했다는 점이다. 볼트 고정 방식은 균일한 장력으로 접촉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에즈락 Z77 익스트림 6 처럼 방열판끼리 히트파이프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히트파이프의 휘어짐으로 장력 불균형이 야기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볼트 조임 방식은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 품질 유지에 유리한 면모를 보여준다.

PWM 컨트롤러는 인터실(Intersil) ISL6367으로 페이즈당 듀얼 MosFET을 지원, 디지털로 수치화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인텔 7-시리즈 칩셋을 얹은 에즈락 Z77 익스트림 6은 LGA1155 소켓으로 샌디브릿지 기반의 프로세서 뿐만 아니라 상반기 출시 예정인 22nm 프로세서 아이비브릿지 까지 지원한다. 또한 1155쿨러 장착 홀 근처에 LGA 775용 쿨러 장착 홀을 따로 제공해 호환성을 높인 모습이다.

▲ 에즈윈 ASRock Z77 Extreme 6, DDR3-2800MHz 메모리 소켓
메모리 소켓은 여느 메인보드와 비슷한 모습이다. 각 채널당 8GB씩 총 32GB의 용량을 지원하며, 속도는 공식적으로는 DDR3-1600MHz까지 지원하며, 모듈에 따라 오버클럭으로 최대 DDR3-2800MHz 이상도 지원이 가능하다.



확장카드 슬롯은 익스트림의 이름값에 걸맞는 구성을 보여준다. 3개의 16레인 PCIe 슬롯을 배치해 최대 트리플 GPU 구성이 가능하다. 3개의 16레인 PCIe 슬롯은 위쪽부터 차례대로 16배속, 8배속, 4배속으로 동작한다.

아래 4배속 슬롯은 인텔 Z77 칩셋이 지원하는 슬롯으로 PCIe 2.0 고정 동작하며, 16배속과 8배속 슬롯은 CPU 컨트롤러로 동작하기 때문에 샌디브릿지에서는 PCIe 2.0, 아이비브릿지에서는 PCIe 3.0으로 동작한다. PCIe 3.0은 PCIe 2.0에 비해 2배 확장된 대역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때문에 Z77의 성능을 100% 끌어내기 위해서는 아이비브릿지 프로세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인 텔 Z77 칩셋의 방열판 역시 볼트 조임으로 방열판을 고정한 모습이다. 메모리 컨트롤러나 내장 그래픽처럼 다양한 기능들이 CPU로 통합되고 있지만, PCIe 컨트롤러나 SATA3, USB3 같은 기능들도 점차 칩셋 레벨에서 네이티브로 지원하고 있는 추세다.

P67 칩셋과 마찬가지로 Z77 역시 AMD 크로스파이어와 NVIDIA SLI를 모두 지원하며,



SATA 포트 모습 3와 2를 동시 지원. 포트 앞에 문자 프린트로 구분, SATA3_0_1 ~ SATA2_4_5 포트들은 칩셋에서 네이티브 지원.

SATA3_A1_A2는 별도의 컨트롤러로 ASmedia의 ASM1062 컨트롤러로 동작한다. 별도의 컨트롤러에 하드디스크를 연결할 경우 하드디스크를 인식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가능하면 0~5번 사이에 연결하는 것을 권장한다.

▲ 에즈윈 ASRock Z77 Extreme 6, 입출력 패널(백패널, I/O Panel)
파란색 USB 포트는 3.0, 빨간색 USB 포트는 2.0으로 작동한다. 디스플레이 출력단자는 D-Sub, 싱글링크 DVI-D, HDMI, 디스플레이 포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듀얼 디스플레이 출력이 가능하다.
ASRock Z77 Extreme 6, 자세히 살펴보기 #2




고가의 그래픽 카드로 SLi나 CrossFireX를 구성할 경우 PCIe 슬롯에 많은 전력이 소비되기 때문에 시스템 불안정 현상이 생길것을 고려해 SLI/XFIRE용 추가 전원 커넥터를 배치했다.

에즈락 메인보드에서만 볼 수 있는 금색 솔리드 캐패시터는 알루미늄 전해 캐패시터 시절부터 고급형 제품군으로 유명한 루비콘(Rubycon)사에서 납품한다. 일반적인 캐패시터 제조 기술도 뛰어난 회사인데다, 일반적인 제품군보다 더 신경쓴만큼 특성 역시 더 나은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 에즈윈 ASRock Z77 Extreme 6, 온보드 시스템 버튼
중견 오버클러커를 위한 제품인 만큼 오픈 시스템을 쓰는 유저들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전원 스위치와 리셋 스위치를 온보드 시켰다.

▲ 에즈윈 ASRock Z77 Extreme 6, USB3.0 핀헤더
케이스 전면 USB 포트에 연결할 수 있도록 USB3.0 핀헤더를 배치했다.



기본적으로 인텔은 6-시리즈부터 구 PCI 슬롯을 지원하지 않았다. 하지만 고가 사운드카드를 쓰던 유저들이 쉽사리 바꾸지 못하는 점을 감안해 별도 컨트롤러로 구 PCI 슬롯을 살리는 경우가 많다. 익스트림 6 역시 asmedia의 ASM1083 컨트롤러로 1배속 PCIe 슬롯을 구 PCI 슬롯으로 변환해주는 칩이다.



이 부분이 보급형과 고급형 제품군을 구분하는 척도라고 봐도 되는 mSATA 슬롯의 모습이다. 약 20만원선 메인보드 라인업 근처에서 이 슬롯이 있느냐 없느냐가 갈리고 있으며, SSD의 빠른 속도를 이용한 캐싱 모듈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VIA VT6308S 칩셋은 입출력포트의 IEEE1394를 지원하는 칩셋으로 mSATA 슬롯과는 별개의 칩이다.

▲ 에즈윈 ASRock Z77 Extreme 6, 네트워크 및 오디오 칩셋
로드컴 BCM57781 기가비트 랜, 리얼텍 ALC898 오디오 코덱
ASRock Z77 Extreme 6, 에즈락 테크놀러지 #3

에즈락, Special Feature - 555XFast
555XFast는 에즈락이 단독으로 선보이는 성능 개선 기술이다. 5배(5x)로 빨라지는 기술 3가지를 뜻하며 XFastLAN, XFastUSB, XFastRAM이 있다.


XFastRAM
XFastRAM은 메모리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다. PC클리너 등의 프로그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메모리 최적화 기능은 물론이고, 낭비되는 메모리를 가상 디스크로 만들어 대용량 파일 작업이나 임시파일, 캐시파일을 처리하도록 만들수도 있다.

특히 속도는 빠르지만 연속된 읽기 쓰기에 약한 SSD를 사용할 때, 그렇다고 하드디스크에 임시파일이나 캐시파일을 쓰게 되면 SSD를 사용하는 의미가 다소 퇴색된다.

이럴 때 XFastRAM을 활용한다면 보다 빠른 속도와 SSD의 수명까지 한꺼번에 개선할 수 있다. 아무리 SSD의 속도가 개선되었다고 해도 최대 80배 가까이 빠른 램디스크를 따라잡을수는 없어보인다.

XFastUSB
프로파일링을 통해 속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USB에 연결되는  장치의 컨트롤러를 인식해 해당 포트를 옵티마이징 하는 방식이다.

호환성 문제가 다소 제기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성능향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USB를 자주 사용하는 유저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랜덤 보다는 연속 읽기/쓰기 성능의 상승 비율이 큰 편이며, 비슷한 역할을 하는 타사 기술에 비해 상승폭이 높다는 특징을 지녔다.

XFastLAN
XFastLAN 기술은 온라인 게임을 많이 하는 유저라면 익숙할 패스트핑 프로그램과 비슷한 역할로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우선순위를 정해주는 유틸리티다.

국내에서는 광랜이 많이 보급되어 특별히 성능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으나, 아직 광랜 시공이 되지 않았거나 사정상 케이블 인터넷을 사용하는 유저들에겐 어느정도 이득을 가져다 준다.

특히 기본적으로 핑 수치가 높은 해외에 서버가 있는 멀티플레이 게임에서는 어느정도 수치 보정이 이루어진다.

기존에도 줄곧 사용되던 CfosSPEED 프로그램 기반으로 에즈락이 리모델링한 프로그램이다.

인텔, 7-series Special Feature - VirtuMVP



인텔 7-시리즈가 함께 선보인 루시드사의 버튜MVP 기술 역시 지원한다. 별도의 그래픽 카드를 끼울 경우 무용지물이 되던 인텔 내장 그래픽 코어의 성능을 더하는 기술이다. 엔포스 칩셋과 연동되던 하이브리드 SLi나  AMD 메인보드에서만 가능한 AMD 하이브리드 크로스파이어와 달리, 인텔의 VirtuMVP는 지포스, 라데온을 가리지 않고 동작한다는 점이 흥미롭다.

주요 기능은 3D 그래픽 처리를 돕는 퍼포먼스 향상 기술과, 멀티GPU 상황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수직동기화(Vsync) 기능을 강화시키는 기술이 있다.
메인보드 시장은 내가 캐리한다, 에즈락(ASRock) 익스트림 시리즈



2012년 4월 현재, 에즈락은 이미 국내 메인보드 시장에서 일인자의 자리에 오른 상태다. 새롭게 라인업을 선보일 때 마다 품질이 상승하고 있지만 변함없이 준수한 가격대를 유지, 거품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시장에 첫 발을 들였을 때 부터 다양한 실험작들을 쏟아내었던 전적이 있기 때문에 기술력 또한 의심할 여지가 없다는 점을 많은 유저들이 알고 있다는 것도 한 몫 한다.

사실 에즈락이 이렇게 성장해주기 전까지 가격대 성능비에 중점을 둔 메인보드에 특수기능은 바라지도 않았다. 그나마 바이오스라도 꾸준히 지원해주길 기도하며 믿을만한 부품을 쓴 제품들을 구입하는 것이 전부였다. 그런 와중에 바이오스 업데이트도 꾸준하고, 부품도 고급형을 얹었는데 가격까지 저렴하다. 게다가 555XFast 기술까지 얹었으니 금상첨화가 따로 없다.

특히 에즈락의 유통사인 에즈윈의 서비스 정책 변천사도 바람직하다. 초창기 에즈락 제품들은 1년 무상 서비스를 제공했었다. 그러나 약 2007년경 출시되었던 P45 시리즈를 시작으로 메인보드 2년 무상 + 1년 유상으로 서비스 방침을 바꿨고, 2009년부터 3년 무상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과연 앞으로 프리미엄 브랜드 시장에서 에즈락의 위상이 얼마나 더 높아질 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4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