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전체

한 눈에 알아보는 파이널 판타지 우려먹기의 족적

/ 1

80년대에 처음 선을 보여 얼마 전 20주년을 맞은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는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와 함께 일본의 RPG계의 대표작이다. 2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도 세계적인 초대작 시리즈로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전통이 오래 된 시리즈인 만큼, 비교적 최근에 게임을 처음 시작하게 된 유저들에게는 패미콤이나 SFC 등의 구세대 콘솔로 나왔던 초기 시리즈는 접해보기가 쉽지 않은 것이 당연한 법. 이런 이유로 제작사인 스퀘어 에닉스에서는 다양한 최신 콘솔로 예전 시리즈들을 꾸준히 리메이크해왔다. 리메이크뿐 아니라, 일종의 팬서비스로 본편에서는 다룰 수 없는 이야기를 담은 외전격 타이틀 역시 다수 제작되기도 했다. 이 코너에서는 이러한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리메이크작 및 파생작들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파이널 판타지(패미콤) 1987
시리즈의 첫 번째 타이틀. 높은 완성도로 주목을 받았고, ‘잡 시스템’, ‘클래스 체인지’, ‘사이드뷰 전투화면’ 등의 이미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전체의 특징이 스며들어 있다. 그래픽과 사운드가 강화된 MSX2판도 등장했다. 2000년에 발매된 원더스완판은 그래픽 및 시스템이 크게 강화되어 이후 이식판들의 베이스가 되었고, PS판은 화려한 3D 동영상이 삽입되어 팬들을 기쁘게 했다. 일러스트 갤러리와 몬스터 도감이 추가된 것도 특징. ‘파이널 판타지’ 20주년 기념으로 제작된 PSP판은 일부 그래픽의 해상도를 높이고 맵 배경 등을 리뉴얼하는 등 한층 더 파워업했다.

파이널 판타지(MSX2) 1989

파이널 판타지(원더스완) 2000

파이널 판타지(PS) 2002

파이널 판타지(모바일) 2004

파이널 판타지(PSP) 2007

ff-01-28823.jpg

ff-02-3823.jpg

▲ MSX2판

▲ 원더스완판

ff-03-38283.jpg

ff-04-389283.jpg

▲ PS판 CG 동영상

▲ PSP판

파이널 판타지 2(패미콤) 1988
경험치, 레벨의 개념이 없이 무기나 마법을 많이 사용하면 숙련도가 올라 강해지는 숙련도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이후 시리즈의 마스코트가 되는 동물 쵸코보나 캐릭터 시드가 처음 등장하기도 한다. 2001년에 원더스완으로 처음 리메이크되면서 몬스터 그래픽과 BGM 등을 감상할 수 있게 됐다. 2002년의 플레이 스테이션판 리메이크 버전은 아마노 요시타카의 원화 갤러리도 추가되었으며, PSP판에서는 갤러리 모드에 아마노 요시타카가 새로 그린 일러스트까지 추가된다. 뿐만 아니라 GBA판 ‘파이널 판타지 1, 2’에 있었던 ‘소울 오브 카오스’까지 수록하였다.

파이널 판타지 2(원더스완) 2001

파이널 판타지 2(PS) 2002

파이널 판타지 2(모바일) 2005

파이널 판타지 2(PSP) 2007

ff-05-39983.jpg

ff-06-38283.jpg

▲ 원더스완판

▲ PS판 동영상

ff-07-3932.jpg

▲ PSP판

파이널 판타지 1,2(패미콤) 1994
‘파이널 판타지 1, 2’를 하나의 카트리지에 넣은 것으로, 2004년에 나온 GBA용 ‘파이널 판타지 1, 2’도 마찬가지. 원더스완판과 거의 같은 그래픽을 사용하고 있으며 아이템이 증가하고 난이도가 쉬워지는 등 시스템이 크게 변했다.

파이널 판타지 1,2 어드밴스(GBA) 2004

ff-08-38283.jpg

▲ GBA판

파이널 판타지 3(패미콤) 90
SD캐릭터들이 연기를 하고 소환마법이 새롭게 추가되어 크게 화려해진 시리즈 3번째 작품. 잡 시스템이 부활하여 이것을 활용한 공략법도 필요하게 되었다. 2006년에 발매된 DS판은 지금까지의 리메이크 작품들과는 다르게 그래픽에서 시스템까지 확 달라졌다. 밸런스는 물론 스토리에도 일부 수정이 가해졌고 새로운 설정과 연출이 추가되기도 했다. DS 오리지널 작품답게 모든 조작을 펜만으로 할 수 있으며 2개의 화면을 이용한 재미있는 연출도 자주 보인다.

파이널 판타지 3 DS(NDS) 2006

ff-09-28828.jpg

ff-10-0283.jpg

▲ NDS판

파이널 판타지 4(SFC) 91
슈퍼패미콤용으로 플랫폼을 바꾼 첫 번째 작품. 발매된 지 얼마 후 난이도를 낮춘 ‘이지타입’을 발매한다. 패미콤용 전작들보다 크게 발전된 연출이 돋보였으며, 최초로 리얼타임 전투시스템 ‘액티브 타임 배틀(ATB)'이 도입된다.

97년에 등장한 플레이 스테이션판은 오프닝과 엔딩이 CG 동영상으로 바뀌었으며 X버튼을 누르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대쉬가 추가되었다. 원더스완판 역시 배경 그래픽 등을 새로 바꾸었으며 2005년의 GBA판은 아마노 요시타카 디자인의 게임보이 미크로 동봉판이 발매되기도 했다. 얼마 전 발매된 NDS판은 3편과 마찬가지로 3D 그래픽으로 모든 것이 새로워진 버전. 스토리상으로도 새로운 이벤트가 추가되기도 했다. 특히 일부 이벤트에는 음성까지 나오는 것이 특징.

파이널 판타지 4 이지 타입(SFC) 91

파이널 판타지 4(PS) 94

파이널 판타지 4(원더스완) 2002

파이널 판타지 4 어드밴스(GBA) 2005

파이널 판타지 4(NDS) 2007

ff-11-73723.jpg

ff-12-38283.jpg

▲ PS판

▲ GBA판

ff-13-382632.jpg

▲ NDS판

파이널 판타지 5(SFC) 1992
잡체인지 시스템이 발전되어 도입된 작품으로, 잡마다 다른 어빌리티를 배울 수 있고 다른 잡으로 바꾼 후에도 그 어빌리티를 그대로 쓸 수 있어 원하는 어빌리티만 배울 수 있는 것이 가능했다. 그래픽은 전작들보다 훨씬 발전되었다는 것이 뚜렷이 느껴진다. 플레이 스테이션판은 오프닝, 엔딩이 CG 동영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빠르게 이동하는 ‘대쉬’가 가능하다. 2006년에 발매된 GBA판은 잡 및 방어구 등이 추가됐고 오프닝이 달라졌지만 시스템 자체는 거의 원작과 비슷하다.

파이널 판타지 5(PS) 1998

파이널 판타지 5 어드밴스(GBA) 2006

ff-14-989832.jpg

ff-15-37723432.jpg

▲ PS판 CG 동영상

▲ GBA판

파이널 판타지 6(SFC) 1994
마지막 SFC용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당시 최대급이 용량을 사용한 뛰어난 그래픽과 음악, 장대한 스토리, 쾌적한 시스템 등 완성도 높은 걸작으로 꼽힌다. 그 퀄리티는 지금 SFC용을 다시 해봐도 무리가 없을 정도. 99년에 발매된 PS판은 원작과 거의 동일하지만 5편처럼 오프닝, 엔딩에 CG 동영상을 사용했고 각종 자료를 보는 모드가 추가되었다. 2006년에 발매된 GBA판 역시 던전 추가 등의 몇 가지 작은 변화가 존재했다.

파이널 판타지 6(PS) 1999

파이널 판타지 6 어드밴스(GBA) 2006

ff-16-38823.jpg

ff-17-38283.jpg

▲ PS판 CG 동영상

▲ GBA판

파이널 판타지 7 (PS) 1997
플랫폼을 플레이 스테이션으로 옮기고 발매된 작품으로, 전 세계 약 980만 장의 매상을 올려 ‘파이널 판타지’라는 이름을 세계적으로 알리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래픽이 3D로 바뀐 것도 놀랍지만, 지금까지의 평범한 판타지 세계관에서 탈피, SF가 가미된 신선한 세계관이 주목을 받았다.

이후 2004년에 발매된 ‘비포어 크라이시스’를 시작으로, 외전격 작품들인 ‘컴필레이션 오브 파이널 판타지 VII"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모바일용인 ‘비포어 크라이시스’는 본편의 6년 전에서 시작되는 이야기로, 터크스의 과거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DVD 영화로 기획된 ‘어드밴트 칠드런’은 본편의 2년 후가 배경으로, 본편의 스탭들이 대부분 참여해 제작했다. PS2용으로 발매된 ‘더지 오브 켈베로스’는 등장인물 중 한 명 빈센트를 주인공으로 3년 후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장르는 액션RPG로 온라인 플레이도 즐길 수 있었다. 이 외전의 외전인 ‘더지 오브 켈베로스 로스트 에피소드’가 모바일용으로 나오기도 했다. PSP용으로 등장한 ‘크라이시스 코어’는 본편의 주인공 클라우드의 친구인 잭스가 주인공이다. 본편에서 7년 전의 이야기를 다룬 액션 RPG로서 삽입된 동영상의 퀄리티가 매우 높다.

파이널 판타지 7 인터내셔널(PS) 1997

파이널 판타지 7 비포어 크라이시스(모바일) 2004

파이널 판타지 어드밴트 칠드런(DVD) 2005

파이널 판타지 7 더지 오브 켈베로스(PS2) 2006

파이널 판타지 7 더지 오브 켈베로스 로스트 에피소드(모바일) 2006

파이널 판타지 7 크라이시스 코어(PSP) 2007

ff-18-39283.jpg

ff-20-2882.jpg

▲ 비포어 크라이시스

▲ 더지 오브 켈베로스

ff-19-38832.jpg

▲ 어드밴트 칠드런

ff-22-388723.jpg

▲ 크라이시스 코어

ff-21-2982.jpg

 

▲ 파이널 판타지 7 더지 오브 켈베로스 로스트 에피소드(모바일) 2006

파이널 판타지 10(PS2) 2001

PS2로 발매된 첫 번째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로서 9, 10, 11편이 동시에 개발이 발표되어 충격을 던져주기도 했다. 전 세계 약 500만장의 판매고를 달성한 인기작이기도 하다. 시리즈 최초로 캐릭터들의 대사에 음성이 지원되었고, 압도적인 그래픽과 사운드는 세계를 놀라게 할 정도였다. 2003년, 최초로 본편 타이틀의 속편인 타이틀 ‘파이널 판타지 X-2’가 발매되기도 했다. 2002년에 영어 음성으로 발매된 인터내셔널 버전에는 부록 DVD로 X과 X-2 사이의 이야기를 다룬 동영상 ‘어나더 스토리 영원의 나기절’이 수록되었으며, 2004년에는 X-2의 인터내셔널판 인터내셔널+라스트미션이 발매된다. 이 인터내셔널+라스트미션은 음성뿐만 아니라 주제가까지 영어가 되었고 풍부한 이벤트 추가와 보너스 요소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파이널 판타지 10 인터내셔널(PS2) 2002

파이널 판타지 10 어나더 스토리 영원의 나기절(DVD) 2002

파이널 판타지 X-2(PS2) 2003

파이널 판타지 X-2 인터내셔널+라스트미션(PS2) 2004

ff-23-2837232.jpg

▲ 영원의 나기절

ff-24-389823.jpg

▲ X-2

새로운 판타지를 기대하며...
지금까지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우려먹기(?)의 족적을 간단히 소개해보았지만, 그래도 역시 상당한 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스퀘에 에닉스에서 ‘파이널 판타지’의 이름을 달고 나온 게임들은 이것들만이 아니다. 최근에는 ‘파이널 판타지 택틱스’, ‘파이널 판타지 크리스탈 크로니클’, ‘파이널 판타지 디씨디아’ 등 거의 이름만 빌려온 새로운 시리즈들도 계속 제작되고 있다.

팬들을 위해 다양한 테이스트의 ‘파이널 판타지’를 선보여주는 것도 나쁘지는 않지만, 지나친 것은 아니함만 못하다는 말도 있지 않은가. 부디 ‘파이널 판타지’라는 브랜드의 가치를 떨어뜨리지 않도록, 질 낮은 다작이 난립하게 되는 일은 없었으면 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파이널 판타지’라는 이름을 빌리지 않고도 유저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매력적이고도 새로운 스퀘어 에닉스의 판타지를 보여준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ff-25-3828732.jpg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4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