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쇼 B2C관은 눈에 보이지 않는 신경전이 펼쳐지는 곳이다. 행사에 참여한 게임사들이 직접 게이머를 만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자사 게임을 좀 더 많은 사람들에게 보이기위해 게임사들은 게이머들의 발길을 끌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한 무기는 바로 부스다. 넓은 크기로 이목을 집중시키는 것은 기본. 화려한 복장의 부스걸, 다양한 경품이 걸린 현장 이벤트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게이머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그런데 일본 ‘도쿄게임쇼’에는 한 가지 무기가 더 있다. 바로 회사를 대표하는 캐릭터다. 원체 캐릭터 산업이 크게 발달한 나라인 만큼, 게임사마다 마스코트가 한 둘이 아닌 것이다. 따라서 ‘도쿄게임쇼’ B2C 부스에는 각 회사를 대표하는 캐릭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과연 현장에 부스를 차린 게임사들의 ‘얼굴마담’은 누구일까? 게임메카는 현장 부스를 사진으로 담았다.
▲ 현장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소닉'이 버티고 있는 세가 (사진출처: 게임메카)
▲ 이번 행사에는 '용과 같이' 3형제가 출격했는데 (사진출처: 게임메카)
▲ 인기 원작인 '북두의 권'이 중심이었다 (사진출처: 게임메카)
▲ 만화 속 인기 캐릭터 분장을 한 부스걸에 관심이 쏠렸다 (사진출처: 게임메카)
▲ 추억 속 연인들을 앞세운 코나미 부스 (사진출처: 게임메카)
▲ 네네쨩... 기억하고 있니? 오랫만에 돌아온 '러브플러스' 인기는 대단했다 (사진출처: 게임메카)
▲ 캡콤 부스의 최고는 역시 초 기대작 '몬스터 헌터 월드' (사진출처: 게임메카)
▲ 박력넘치는 '넬 기간테' 조각상과 2명의 헌터들 (사진출처: 게임메카)
▲ 소니 부스에서도 '몬헌 월드'는 인기였다 (사진출처: 게임메카)
▲ 잘 구워졌습니다! 연출이 가능 (사진출처: 게임메카)
▲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속 안드로이드. 중간중간 부스 내부를 걷는 모습도 안드로이드 그 자체 (사진출처: 게임메카)
▲ 일본 국민 RPG를 만드는 스퀘어 에닉스 (사진출처: 게임메카)
▲ '드래곤 퀘스트' 슬라임과... (사진출처: 게임메카)
▲ '파이널 판타지' 모그리도 있다쿠뽀 (사진출처: 게임메카)
▲ 두 시리즈 30주년을 기념한 '포춘 스트리트' 신작까지, 마스코트로 손색이 없다 (사진출처: 게임메카)
▲ 부시로드는 2D 아이돌이 핵심! 모바일게임 신작 '러브 라이브 스쿨아이돌 페스티벌 올스타즈'와 (사진출처: 게임메카)
▲ 비교적 신인인 '뱅드림'이 보였다 (사진출처: 게임메카)
▲ IP강자 반다이남코 엔터테인먼트는 올해도 여전하다. 드래곤볼에 (사진출처: 게임메카)
▲ 울트라맨이 부수는 도시를 그린 '거영도시'. 익숙한 캐릭터는 다 모았다 (사진출처: 게임메카)
▲ 하지만 최고 인기는 신규 IP '코드 베인'. 시연을 위해선 무려 2시간을 기다려야... (사진출처: 게임메카)
▲ 신규 IP치고 성공적인 데뷔 무대를 기록했다 (사진출처: 게임메카)
▲ 마지막은 코에이 테크모 게임즈 (사진출처: 게임메카)
▲ 첫인상은 역시 역사게임 전문 다운 중후함 (사진출처: 게임메카)
▲ 하지만 산하 개발사 거스트는 미소녀에 일가견이 있다 (사진출처: 게임메카)
▲ '아틀리에' 시리즈가 벌써 20주년이라니 감개무량하다 (사진출처: 게임메카)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2003년, 에버퀘스트 기행기를 읽던 제가 게임메카의 식구가 되었습니다. 언제까지나 두근거림을 잊지 않는 사람으로 남고 싶습니다.hunsang1230@gamemeca.com
게임일정
2025년
02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인기게임순위
- 1 리그 오브 레전드
- 21 FC 온라인
- 31 발로란트
- 41 로스트아크
- 51 메이플스토리
- 6 플레이어언노운스 배틀그라운드
- 7 서든어택
- 82 패스 오브 엑자일 2
- 91 던전앤파이터
- 102 스타크래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