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산업

위메이드트리가 제시하는 P2E 게임 장르별 개발 유의점

/ 1
▲ 대한민국 NFT 포럼에서 강연 중인 위메이드트리 김건호 이사 (사진출처: 포럼 생중계 갈무리)

위메이드는 작년에 미르4를 토대로 한 P2E(플레이 투 언) 게임으로 괄목할 성과를 거두며 눈길을 끌었다. 미르4를 비롯한 위메이드 P2E 게임은 자회사 위메이트트리가 발생한 암호화폐 위믹스 코인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올해 위메이드는 자사 블록체인 플랫폼 위믹스에 게임 100개를 입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국내 게임사 다수와 입점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위메이드와 위메이드트리는 단기간에 P2E 게임을 준비 중인 많은 게임사 관계자를 만났다. 그 과정에서 사업을 준비 중인 게임사 대부분이 블록체인 기술과 P2E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다는 점을 알게 됐다. 이에 위메이드트리 김건호 이사는 19일 열린 대한민국 NFT 포럼을 통해 P2E 게임을 준비할 때 유념해야 할 부분을 장르별로 정리해서 밝혔다.

김건호 이사가 강조한 부분은 P2E 게임 핵심은 현금화 가능한 토큰을 기반으로 한 토큰 경제다. 특히 토큰을 발행하고 배포하는 것과 함께, 토큰을 회수하는 구조도 체계적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P2E 게임은 마케팅 없이도 토큰 채굴을 통해 많은 유저를 확보할 수 있다”라며 “다만 토큰을 배포만 하고 소비가 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토큰이 쌓여 시세가 하락한다. 일정 가격이 유지되어야 유저가 장기간 머물며 게임을 이용하기에 수요와 공급에 대한 설계가 중요하다”라고 전했다. 출시 초기에는 집객을 위해 일정량 이상의 토큰을 풀 필요가 있으나, 풀린 토큰을 사용하는 소비처도 충분히 마련해 가치를 유지해야 장기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김 이사가 토큰 경제를 도입하기 좋은 장르로 손꼽은 것은 MMORPG다. 그는 “MMORPG는 경제 요소가 많기에 토큰 경제를 적용할 수 있는 부분도 크다. 미르4 역시 흑철을 토큰화하고, 토큰을 다시 소비재로 돌아가는 구조다. 다른 MMORPG도 기획 중인데 길드전, PvP 등 경쟁요소에 대한 보상으로 토큰을 주는 식이다. 그렇게 되면 경쟁을 위해 성장하는 과정에서 소비가 발생한다. 아울러 NFT 형태의 고유한 아이템이나 캐릭터 유저끼리 거래할 수 있도록 하면, 거래량이 늘어날수록 수수료도 매출로 많이 반영된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대규모 전쟁을 핵심으로 한 SLG(시뮬레이션 게임)에 대해서는 “행성이나 성을 배경으로 자원을 채굴하고, 서로의 자원을 빼앗는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쟁에 참여하는 각 진영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인앱매출(게임 유료 아이템)과 토큰 관련 매출이 발생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TCG의 경우 “카드를 성장시키는 과정에서 하위 카드들이 재료로 쓰는 것을 기본으로 삼고 있는데, 각 카드를 NFT로 만들면 카드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도록 만들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FPS와 캐주얼게임은 토큰을 기반으로 한 P2E를 도입하기 어려운 장르로 손꼽힌다. 다만 김 이사는 이에 대해서도 방향성을 제시했다. 그는 “FPS는 기존작이 시장을 점령하여 신작이 성공하기 어려운 장르다. 다만 클랜전이나 게임 내에서 매일 이뤄지는 대회를 만들고, 그 보상으로 토큰을 준다면 유저를 유입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라며 “캐주얼게임은 RPG와 같은 성장 요소를 넣어서 기획한다면 괜찮을 것”이라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P2E 게임 핵심은 ‘토큰’이기에 게이머와 함께 토큰 거래를 목적으로 한 투자자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건호 이사는 “따라서 게임 서비스 기간이 짧으면 투자자 반발이 상당히 클 수 있기에 장기적인 서비스로 설계하면 좋다”라고 전했다. 또한 채굴을 악용해 토큰을 취득하는 어뷰저가 많아질 경우 안정적인 서비스가 어려워지기에, 단순한 어뷰징으로는 토큰을 채굴할 수 없도록 콘텐츠를 설계하고, 채굴에 대한 판단을 클라이언트가 아닌 서버에서 검증하는 구조를 가져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에 달린 기사 '댓글 ' 입니다.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