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PC

밸브, 스팀 내 '광고 기반 BM' 게임 금지 재차 강조

/ 1
게임메카 / 제휴처 통합 1,950 View 게임메카 내부 클릭수에 게임메카 뉴스를 송고 받는 제휴처 노출수를 더한 값입니다.
스팀에 출시되는 게임에 대한 광고 관련 정책 (사진출처: 스팀웍스 공식 페이지)
▲ 스팀에 출시되는 게임에 대한 광고 정책 (사진출처: 스팀웍스 공식 페이지)

밸브가 스팀에 출시되는 게임에 허용되는 광고 형태를 재차 강조했다. 특히 플레이 도중 광고가 실행되거나, 광고를 보면 보상을 주는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을 허용하지 않는다. 

밸브는 스팀웍스(Steamworks) 공식 페이지에 스팀 내 게임 광고에 대한 안내 규정을 추가했다. 이 내용은 최소 5년 전부터 적용됐으나, 이번에 별도 페이지가 개설되며 눈길을 끌었다. 

이에 따르면 모바일게임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유료 광고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스팀에 출시되는 게임에는 적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광고를 시청하면 추가 아이템을 지원하거나, 플레이 도중에 광고를 반드시 시청하도록 구성하는 식이다.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은 BM을 수정해야 한다. 스팀이 예시로 든 방법은 유료 게임으로 판매하거나 소액결제/DLC 등으로 추가 요소를 파는 식이다.

스팀에서 허용되는 광고도 함께 안내됐다. 우선 게임 맥락에 적절히 녹아 있어 플레이를 방해하지 않을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구체적으로 스폰서 로고가 적용된 레이싱게임 속 자동차나, 실제 브랜드를 착용한 캐릭터 등이 있다. 이어서 스팀 공식 페이지로 유도하는 외부 광고나 다른 게임 혹은 업체와 협업하는 크로스 프로모션도 가능하다. 다만 다른 게임사에 번들 참여나 판매 페이지 등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때 별도 비용을 청구해서는 안 된다.

최근 모바일게임도 PC에 출시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스팀 출시를 고려하는 게임사라면 기종에 맞춰 BM을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