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산업

트롤링 일어나는 이유는? 게임과학 심포지엄 열린다

/ 1
게임메카 / 제휴처 통합 1,370 View 게임메카 내부 클릭수에 게임메카 뉴스를 송고 받는 제휴처 노출수를 더한 값입니다.
▲ 2025 게임과학 심포지엄 대표 이미지 (사진제공: 게임과학연구원)

게임과학연구원과 디그라한국학회는 오는 4월 18일 오후 1시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소강당에서 '2025 게임과학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다면적 플레이어: 게임 플레이의 다양한 층위들'을 주제로, 국내외 게임 연구자 발제를 통해 '게임 플레이어' 행동과 심리에 대한 논의와 게임이용장애 관련 최신 연구 동향을 살펴본다.

첫 세션은 게임연구학술지(Game Studies) 창립 편집장이자 게임연구 대가인 에스펜 올셋(Espen J. Aarseth) 홍콩시립대 교수와 디그라한국학회 윤태진 학회장의 '게임 플레이어 이해하기'다. 게임 유형과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상대적으로 규정되는 플레이어의 존재를 탐구하고, 게임을 플레이하는 근본적인 이유인 즐거움에 기반한 게임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한다.

두 번째 세션은 핀란드 유베스큘라대학교 벨리-마띠 카훌라티(Veli-Matti Karhulahti) 연구교수와 이화여자대학교 진예원 교수가 '게임이용장애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에 대해 발표한다. 이들은 유럽연구위원회(Europen Research Council) 지원으로 진행 중인 장기 연구 프로젝트 ORE(Ontological Reconstruction of Gaming Disorder, 게임이용장애의 존재론적 재구성)의 연구진으로, 게임이용장애에 대한 글로벌 전문역량을 갖추고 있다. 이들의 연구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게임이용장애 측정 도구의 신뢰성·타당성을 검토하고, 국제 사회에서 게임이용장애가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알아본다.

마지막 세션은 대만 국립정치대학교 크리스틴 쿡(Christine L. Cook) 교수와 서울대학교 이상혁 강의교수가 '트롤러에 대한 문화적, 계량적 이해'를 주제로 발표한다. 문화적 관점에서 트롤링 연구의 역사를 살펴보는 한편, AOS 장르에서 발생하는 트롤링 로그 데이터 분석을 통해 트롤링이 일어나는 동기와 대응 방안을 알아보는 등 플레이어의 트롤링 행위를 조명한다.

김경일 원장은 "게임 연구는 이용자의 경험, 그리고 이들이 게임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포함해 사회적 의미까지 탐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이번 심포지엄이 게임 이용자 문화를 깊이 있게 조명하고, 그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물관리위원회, 게임문화재단, 한국게임산업협회가 공식 후원하며, 동시통역을 지원한다. 사전등록을 통해 무료로 참가할 수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