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전체

[피규어메카] 마법소녀가 되지 않을래? 와작

/ 1
게임메카 / 제휴처 통합 37,105 View 게임메카 내부 클릭수에 게임메카 뉴스를 송고 받는 제휴처 노출수를 더한 값입니다.
진정한 명작 게임이라면, 그 캐릭터까지 수집하고 싶어지는 것이 인지상정! 게임메카는 게이머들 사이에서 화제인 신상 및 인기 피규어를 소개하는 '피규어메카'를 연재합니다. 게임 피규어가 있는 곳엔 어디든 달려가는 남자, Hawe가 전해드리는 피규어의 세계로 떠나볼까요?

오늘 피규어메카의 주제는 마법소녀물의 클리셰를 완벽하게 깨버린 작품이자, 꿈도 희망도 피도 눈물도 없는 딥 다크한 전개로 일약 대히트를 친 그 작품, 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이하 마마마) 입니다. 처음 3화가 방영되었을 때의 충격을 아직도 잊지 못한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결론적으로 마마마는 엄청난 인기를 구가하며 이후 수많은 외전과 게임들이 탄생했습니다.

현재도 모바일로 '마기아 레코드 마마마 외전'이 서비스 중이고, 후속작으로 '마마마 마기아 엑세드라'라는 이름의 게임이 올해 발매를 앞두고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원작의 캐릭터 수는 그리 많지 않지만, 게임화가 되고 외전도 발매되면서 다양한 등장인물들이 많이 추가되어 현재는 피규어 업계의 일각을 담당하고 있다고 봐도 될 정도입니다. 과연 이 멋진 작품의 피규어는 어떤 것이 있을지 한번 감상해 보실까요?

극장판 마마마 카나메 마도카 -시작의 이야기/영원의 이야기- 1/8 완성품 피규어(굿스마일 컴퍼니)

마마마 전체 시리즈 주인공이자, 등장 마법소녀 중 최강자인 카나메 마도카. 절대선에 가까울 정도로 착한 성격과 여린 마음을 갖고 있기에, 작중에선 저렇게 갸날프고도 슬픈 미소를 짓는 경우가 많다. 이미지 컬러인 분홍에 맞추어 어딘가 신비한 분위기를 풍기도록 조형된 피규어(사진출처: 아미아미)
▲ 마마마 전체 시리즈 주인공이자, 등장 마법소녀 중 최강자인 카나메 마도카. 절대선에 가까울 정도로 착한 성격과 여린 마음을 갖고 있기에, 작중에선 저렇게 갸날프고도 슬픈 미소를 짓는 경우가 많다. 이미지 컬러인 분홍에 맞추어 어딘가 신비한 분위기를 풍기도록 조형된 피규어(사진출처: 아미아미)

넨드로이드 마마마 카나메 마도카(굿스마일 컴퍼니)

카나메 마도카 넨드로이드 버전. 여기서는 파트너인 큐베와 함께 웃고 있는 무난한 피규어이지만, 원작 내용을 아는 사람이라면 이 구도가 약간은 공포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겠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카나메 마도카 넨드로이드 버전. 여기서는 파트너인 큐베와 함께 웃고 있는 무난한 피규어이지만, 원작 내용을 아는 사람이라면 이 구도가 약간은 공포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겠다(사진출처: 아미아미)

극장판 마마마 카나메 마도카 -반역의 이야기- 얼티밋 마도카 (애니플렉스)

카나메 마도카의 마법소녀로서 최종 형태. 작중에선 거의 신으로 인정받을 정도의 막대한 힘을 보여주는데, 그런 분위기를 반영하여 따스한 표정에 살짝 요염함이 더해진 듯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피규어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카나메 마도카의 마법소녀로서 최종 형태. 작중에선 거의 신으로 인정받을 정도의 막대한 힘을 보여주는데, 그런 분위기를 반영하여 따스한 표정에 살짝 요염함이 더해진 듯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피규어다(사진출처: 아미아미)

마마마 카나메 마도카 얼티밋 마도카 1/8 완성품 피규어(굿스마일 컴퍼니)

또다른 얼티밋 마도카 피규어로, 아까와는 다르게 결연하게 화살을 쏘는 모습이다. 본편에서 그녀가 겨누고 있는 대상을 감안한다면 그게 어떤 각오인지가 충분히 전해진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또다른 얼티밋 마도카 피규어로, 아까와는 다르게 결연하게 화살을 쏘는 모습이다. 본편에서 그녀가 겨누고 있는 대상을 감안한다면 그게 어떤 각오인지가 충분히 전해진다(사진출처: 아미아미)

극장판 마마마 토모에 마미 -시작의 이야기/영원의 이야기- 1/8 완성품 피규어(굿스마일 컴퍼니)

본편의 마법소녀 중 최고참이자, 따뜻한 리더십을 가진 캐릭터인 토모에 마미. 특유의 트윈 롤머리와 살짝 수줍어하는 듯한 인상, 그리고 준수한 조형과 합쳐져 상당한 퀄리티를 보여주고 있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본편의 마법소녀 중 최고참이자, 따뜻한 리더십을 가진 캐릭터인 토모에 마미. 특유의 트윈 롤머리와 살짝 수줍어하는 듯한 인상, 그리고 준수한 조형과 합쳐져 상당한 퀄리티를 보여주고 있다(사진출처: 아미아미)

넨드로이드 마마마 토모에 마미(굿스마일 컴퍼니)

토모에 마미의 넨드로이드 버전. 약간은 달관한 듯 나른한 표정을 보여주는 넨드로이드인데, 사실 이 넨도의 진짜 핵심은 바로 추가 구성품에 있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토모에 마미의 넨드로이드 버전. 약간은 달관한 듯 나른한 표정을 보여주는 넨드로이드인데, 사실 이 넨도의 진짜 핵심은 바로 추가 구성품에 있다(사진출처: 아미아미)

문제의 바로 그 장면 직전 모습을 넨드로이드로 구현화 시킨 모습. 귀여운 넨드로이드에서도 뭔지 모를 섬뜩함이 느껴진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문제의 바로 그 장면 직전 모습을 넨드로이드로 구현화 시킨 모습. 귀여운 넨드로이드에서도 뭔지 모를 섬뜩함이 느껴진다(사진출처: 아미아미)

극장판 마마마 미키 사야카 -시작의 이야기/영원의 이야기- 1/8 완성품 피규어(굿스마일 컴퍼니)

주연 5인방 중 가장 보이시하지만 가장 소녀다운 내면을 간직한 비극의 짝사랑 마법소녀 미키 사야카. 평소 듬직하고 활달한 왕자님같은 모습을 보여주는 그녀지만, 이번 피규어는 지극히 소녀다운 가녀린 조형을 보여준다. 복장과 검 등 전반적으로 고품질이 특징(사진출처: 아미아미)
▲ 주연 5인방 중 가장 보이시하지만 가장 소녀다운 내면을 간직한 비극의 짝사랑 마법소녀 미키 사야카. 평소 듬직하고 활달한 왕자님같은 모습을 보여주는 그녀지만, 이번 피규어는 지극히 소녀다운 가녀린 조형을 보여준다. 복장과 검 등 전반적으로 고품질이 특징(사진출처: 아미아미)

넨드로이드 마마마 미키 사야카(굿스마일 컴퍼니)

미키 사야카의 넨드로이드 버전. 사랑에 빠진 소녀다운 홍조가 그녀의 귀여움을 한층 돋보이게 한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미키 사야카의 넨드로이드 버전. 사랑에 빠진 소녀다운 홍조가 그녀의 귀여움을 한층 돋보이게 한다(사진출처: 아미아미)

극장판 마마마 사쿠라 쿄코 -시작의 이야기/영원의 이야기- 1/8 완성품 피규어(굿스마일 컴퍼니)

가장 현실적인 성격이자 소악마적 면모를 보여주는 마법소녀인 사쿠라 쿄코. 알고보면 진성 츤데레에 정이 많은 캐릭터로, 미키 사야카의 영혼의 파트너이자 질긴 인연이다. 혀를 날름거리며 마법소녀로써의 업무를 개시하는 귀여운 모습이 잘 표현되어 있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가장 현실적인 성격이자 소악마적 면모를 보여주는 마법소녀인 사쿠라 쿄코. 알고보면 진성 츤데레에 정이 많은 캐릭터로, 미키 사야카의 영혼의 파트너이자 질긴 인연이다. 혀를 날름거리며 마법소녀로써의 업무를 개시하는 귀여운 모습이 잘 표현되어 있다(사진출처: 아미아미)

넨드로이드 마마마 사쿠라 쿄코(굿스마일 컴퍼니)

사쿠라 쿄코의 넨드로이드 버전. 일반 피규어와 넨드로이드 버전 사이의 갭이 거의 없다시피 할 정도로 그녀의 소악마적 면모를 잘 표현해주고 있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사쿠라 쿄코의 넨드로이드 버전. 일반 피규어와 넨드로이드 버전 사이의 갭이 거의 없다시피 할 정도로 그녀의 소악마적 면모를 잘 표현해주고 있다.(사진출처: 아미아미)

극장판 마마마 아케미 호무라 -시작의 이야기/영원의 이야기- 1/8 완성품 피규어(굿스마일 컴퍼니)

카나메 마도카 단 한 사람을 위해 가장 고통받는 마법소녀이자 명실공히 이 이야기의 진주인공인 아케미 호무라. 그녀의 행보가 곧 마마마 전체의 이야기일 정도로 굉장히 중요한 키 퍼슨이다. 본 피규어에선 나른한 듯 약간 꺼벙한 표정을 보여주지만, 그녀가 본편에서 이런 표정을 보여주는 경우는 정말 손꼽을 정도로 드물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카나메 마도카 단 한 사람을 위해 가장 고통받는 마법소녀이자 명실공히 이 이야기의 진주인공인 아케미 호무라. 그녀의 행보가 곧 마마마 전체의 이야기일 정도로 굉장히 중요한 키 퍼슨이다. 본 피규어에선 나른한 듯 약간 꺼벙한 표정을 보여주지만, 그녀가 본편에서 이런 표정을 보여주는 경우는 정말 손꼽을 정도로 드물다(사진출처: 아미아미)

넨드로이드 마마마 아케미 호무라(굿스마일 컴퍼니)

아케미 호무라의 넨드로이드 버전. 약간 차갑게 보여주는 저 미소가 본편에서 호무라가 자주 보여주는 표정이다. 매사에 냉소적인 그녀지만, 마도카가 개입되었다고 하면 저 표정에서 180도 달라진 부드러운 표정이 된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아케미 호무라의 넨드로이드 버전. 약간 차갑게 보여주는 저 미소가 본편에서 호무라가 자주 보여주는 표정이다. 매사에 냉소적인 그녀지만, 마도카가 개입되었다고 하면 저 표정에서 180도 달라진 부드러운 표정이 된다(사진출처: 아미아미)

극장판 마마마 카나메 마도카 -반역의 이야기- 악마 호무라(애니플렉스)

모종의 이유로 악마화된 아케미 호무라. 앞서 소개한 피규어와 동일인물이 맞나 싶을 정도의 180도 다른 표정이다. 거대한 날개, 산발된 머리카락 표현, 커다란 리본과 요염한 표정과 복장은 이번 기사 내 최고 품질이 아닐까 싶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모종의 이유로 악마화된 아케미 호무라. 앞서 소개한 피규어와 동일인물이 맞나 싶을 정도의 180도 다른 표정이다. 거대한 날개, 산발된 머리카락 표현, 커다란 리본과 요염한 표정과 복장은 이번 기사 내 최고 품질이 아닐까 싶다(사진출처: 아미아미)

마기아 레코드 마마마 외전 타마키 이로하(맥스팩토리)

외전격 이야기를 다룬 게임 마기아 레코드의 주인공 타마키 이로하, 사라진 여동생 타마키 우이를 위해 마법소녀가 된 주인공으로, 특이하게 활을 주무기로 사용한다. 긴 머리를 덮은 망토와 온화한 표정의 조화가 인상적이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외전격 이야기를 다룬 게임 마기아 레코드의 주인공 타마키 이로하, 사라진 여동생 타마키 우이를 위해 마법소녀가 된 주인공으로, 특이하게 활을 주무기로 사용한다. 긴 머리를 덮은 망토와 온화한 표정의 조화가 인상적이다(사진출처: 아미아미)

마기아 레코드 마마마 외전 타마키 이로하 수영복 버전(FURYU)

타마키 이로하의 수영복 버전. 큐베 모양의 튜브, 귀여운 비키니, 파르페를 먹는 모습이 합쳐져 전반적인 귀여운 분위기를 잘 살려주고 있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타마키 이로하의 수영복 버전. 큐베 모양의 튜브, 귀여운 비키니, 파르페를 먹는 모습이 합쳐져 전반적인 귀여운 분위기를 잘 살려주고 있다(사진출처: 아미아미)

마기아 레코드 마마마 외전 이스즈 렌(알터)

역시 마기아 레코드의 등장인물인 이스즈 렌. 작품 내 등장한 마법소녀 중 심약하기로는 끝판왕이지만, 정작 인게임 성능은 굉장히 좋다고... 특이하게 극단적 선택 중 생존을 원하여 마법소녀가 된 케이스로, 마법소녀라기보단 마도사 같은 복장이 인상적이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역시 마기아 레코드의 등장인물인 이스즈 렌. 작품 내 등장한 마법소녀 중 심약하기로는 끝판왕이지만, 정작 인게임 성능은 굉장히 좋다고... 특이하게 극단적 선택 중 생존을 원하여 마법소녀가 된 케이스로, 마법소녀라기보단 마도사 같은 복장이 인상적이다(사진출처: 아미아미)

마기아 레코드 마마마 외전 유이 츠루노(코토부키야)

마기아 레코드의 조연 캐릭터인 유이 츠루노. 갈색 사이드 포니테일의 귀여운 헤어스타일과 안 어울릴듯 어울리는 철선의 조화가 매력적이다. 철선을 무기로 쓰는 대표적인 캐릭터인 게임 아랑전설의 캐릭터 시라누이 마이가 떠오르는 부분(사진출처: 아미아미)
▲ 마기아 레코드의 조연 캐릭터인 유이 츠루노. 갈색 사이드 포니테일의 귀여운 헤어스타일과 안 어울릴듯 어울리는 철선의 조화가 매력적이다. 철선을 무기로 쓰는 대표적인 캐릭터인 게임 아랑전설의 캐릭터 시라누이 마이가 떠오르는 부분(사진출처: 아미아미)

마기아 레코드 마마마 외전 알리나 그레이(윙)

생긴 것과는 다르게 마기아 레코드에서 가장 엉뚱한 사고방식의 소유자인 알리나 그레이. 겉만 봐선 라임색 머리와 베레모, 제복이 마법소녀 보단 어딘가의 보컬로이드 같기도 하다. 생뚱맞은 귀여움도 느껴지는 기묘한 피규어(사진출처: 아미아미)
▲ 생긴 것과는 다르게 마기아 레코드에서 가장 엉뚱한 사고방식의 소유자인 알리나 그레이. 겉만 봐선 라임색 머리와 베레모, 제복이 마법소녀 보단 어딘가의 보컬로이드 같기도 하다. 생뚱맞은 귀여움도 느껴지는 기묘한 피규어(사진출처: 아미아미)

마기아 레코드 마마마 외전 나나미 야치요(코토부키야)

마기아 레코드의 또 다른 주인공인 나나미 야치요. 마마마 전체를 통틀어 가장 오랫동안 활약한 마법소녀이자 현역 대학생 마법소녀. 머리 장식과 별 모양이 그려진 치마, 그리고 지팡이와 더불어 이집트의 신관을 떠올리게 한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마기아 레코드의 또 다른 주인공인 나나미 야치요. 마마마 전체를 통틀어 가장 오랫동안 활약한 마법소녀이자 현역 대학생 마법소녀. 머리 장식과 별 모양이 그려진 치마, 그리고 지팡이와 더불어 이집트의 신관을 떠올리게 한다(사진출처: 아미아미)

넨드로이드 넨드로이드 마마마외전 나나미 야치요(굿스마일 컴퍼니)

야치요의 넨드로이드 버전. 오랫동안 마법소녀 생활을 해왔음에도 여유있게 멍해보이는 표정에서 달인의 달관함이 느껴진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야치요의 넨드로이드 버전. 오랫동안 마법소녀 생활을 해왔음에도 여유있게 멍해보이는 표정에서 달인의 달관함이 느껴진다(사진출처: 아미아미)

마기아 레코드 마마마 외전 후타바 사나 1/8 완성품 피규어(굿스마일 컴퍼니)

마기아 레코드의 등장인물 중에서도 가장 처절한 성장환경을 겪은 후타바 사나. 막장이라 표현할 수 밖에 없는 환경 속에서 단지 부정적 사고방식만 가지고 선하게 성장한 것이 대단할 지경인 캐릭터다. 본 피규어에서는 이런 처절한 모습보다도 방패를 든 성녀로서 고결한 모습이 강조되어 있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마기아 레코드의 등장인물 중에서도 가장 처절한 성장환경을 겪은 후타바 사나. 막장이라 표현할 수 밖에 없는 환경 속에서 단지 부정적 사고방식만 가지고 선하게 성장한 것이 대단할 지경인 캐릭터다. 본 피규어에서는 이런 처절한 모습보다도 방패를 든 성녀로서 고결한 모습이 강조되어 있다(사진출처: 아미아미)

마기아 레코드 마마마 외전 미츠키 펠리시아 1/8 완성품 피규어(굿스마일 컴퍼니)

마녀를 극단적으로 싫어하고, 없애버리려고 하는 마법소녀 미츠키 펠리시아. 가녀린 팔로 엄청난 크기의 해머를 다루는 모습이 꽤나 인상적이다. 선배 마법소녀 시리즈인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의 비타를 떠올리게 한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마녀를 극단적으로 싫어하고, 없애버리려고 하는 마법소녀 미츠키 펠리시아. 가녀린 팔로 엄청난 크기의 해머를 다루는 모습이 꽤나 인상적이다. 선배 마법소녀 시리즈인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의 비타를 떠올리게 한다(사진출처: 아미아미)

마마마 큐베 완성품 피규어(Seven Sea)

만악의 근원이자, 마법소녀물의 마스코트는 선하다는 인식을 아예 처음부터 깨부숴버린 만악의 근원 큐베. 외모만 정말로 귀엽게 생긴 마스코트 캐릭터지만, 본편을 보고 나면 욕을 안 할래야 안 할 수 없는 캐릭터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만악의 근원이자, 마법소녀물의 마스코트는 선하다는 인식을 아예 처음부터 깨부숴버린 만악의 근원 큐베. 외모만 정말로 귀엽게 생긴 마스코트 캐릭터지만, 본편을 보고 나면 욕을 안 할래야 안 할 수 없는 캐릭터다(사진출처: 아미아미)

figma 극장판 마마마 -반역의 이야기- 모모에 나기사(맥스팩토리)

가장 짧은 기간에 마법소녀가 되었고, 삶 전체가 비극이 된 캐릭터 모모에 나기사. 사실 본인은 전혀 인지하지 못하지만, 본편의 캐릭터 토모에 마미와는 작품 내적으로도 외적으로도 뗄레야 뗄 수 없는 캐릭터다. 헨젤과 그레텔의 과자 나라로부터 온 모습이 인상적이다(사진출처: 아미아미)
▲ 가장 짧은 기간에 마법소녀가 되었고, 삶 전체가 비극이 된 캐릭터 모모에 나기사. 사실 본인은 전혀 인지하지 못하지만, 본편의 캐릭터 토모에 마미와는 작품 내적으로도 외적으로도 뗄레야 뗄 수 없는 캐릭터다. 헨젤과 그레텔의 과자 나라로부터 온 모습이 인상적이다(사진출처: 아미아미)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플랫폼
비디오
장르
롤플레잉
제작사
니트로플러스
게임소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포터블'은 지난 해 애니메이션으로 많은 인기를 얻은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를 기반으로 개발된 게임이다. 원작의 각본가 우로부치 겐이 감수한 오리지널 시나리오도 포함되었으며, 원작에 등... 자세히
에 달린 기사 '댓글 ' 입니다.
게임잡지
2005년 3월호
2005년 2월호
2004년 12월호
2004년 11월호
2004년 10월호
게임일정
2024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