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테마 > e스포츠

발로란트 마스터즈 방콕, DRX·T1 상대 정해졌다

/ 1
게임메카 / 제휴처 통합 1,515 View 게임메카 내부 클릭수에 게임메카 뉴스를 송고 받는 제휴처 노출수를 더한 값입니다.
발로란트 마스터즈 방콕 대표 이미지 (사진출처: 발로란트 챔피언스투어 공식 유튜브 채널 갈무리)
▲ 발로란트 마스터즈 방콕 대표 이미지 (사진출처: 발로란트 챔피언스투어 공식 유튜브 채널 갈무리)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VCT) 퍼시픽 대표로 마스터스 방콕에 출전하는 DRX와 T1의 경기 상대가 결정됐다.

오는 20일 오후 7시(국내 기준) 시작하는 개막전에서는 에드워드 게이밍과 팀 리퀴드가 대결하고, 다음 경기에 DRX와 센티널즈를 만난다. 이어지는 21일에는 T1이 팀 바이탈리티를 상대하며, G2 e스포츠와 트레이스 e스포츠의 경기가 이어진다. 

마스터스 방콕은 발로란트 e스포츠의 4개 국제 리그인 VCT 퍼시픽, VCT 아메리카스, VCT EMEA, VCT CN에서 진행된 킥오프 토너먼트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한 팀들이 한 자리에 모여 경쟁하는 대회다. VCT 퍼시픽에서는 DRX가 T1을 3 대 2로 제압하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VCT 아메리카스에서는 G2 e스포츠가 센티널즈를, VCT EMEA에서는 팀 바이탈리티가 팀 리퀴드를 제압했다. VCT CN에서는 에드워드 게이밍이 트레이스 e스포츠를 잡아내고 정상에 올랐다. 

8개 팀은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1차 경쟁을 펼친다. 1라운드에서는 VCT 퍼시픽 킥오프 우승팀인 DRX가 VCT 아메리카스 준우승팀인 센티널즈를 상대하고 퍼시픽 준우승팀인 T1은 EMEA 우승팀인 팀 바이탈리티와 대결한다. 아메리카스 우승팀인 G2 e스포츠는 CN 준우승팀인 트레이스 e스포츠를 상대하고 CN 우승팀이자 2024년 챔피언스 우승팀인 에드워드 게이밍은 EMEA 준우승팀인 팀 리퀴드와 첫 경기를 치른다.


발로란트 마스터즈 투어에 출전하는 DRX(상)와 T1(하) (사진제공: 라이엇게임즈)
▲ 발로란트 마스터즈 투어에 출전하는 DRX(상)와 T1(하) (사진제공: 라이엇 게임즈)

2023년 VCT 퍼시픽 준우승자 자격으로 일본 도쿄에서 열린 마스터스에 나갔던 DRX는 8강 진출에 만족해야 했다. 2024년에도 문을 두드렸지만 킥오프에서 4강, 스테이지 1에서 4위에 머무르면서 두 번의 기회를 모두 놓쳤다. 

1년 반 만에 마스터스 무대에 서는 DRX의 첫 상대는 아메리카스 준우승팀인 센티널즈다. 2021년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열린 마스터스에서 우승을 차지한 센티널즈는 작년에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마스터스에서 젠지와 풀 세트 접전을 펼친 끝에 우승을 차지하는 등 발로란트 명문 팀으로 입지를 굳혔다.

DRX는 센티널즈와 공식 대회에서 한 번, 비공식 대회에서 한 번 만나 모두 패했다. 2023년 아프리카TV(현 SOOP)가 개최한 발로란트 리그 승자전에서 만나 0 대 2로 패했고, 챔피언스 서울 플레이오프 첫 경기에서도 0 대 2로 패하며 하위조로 내려갔다. 

두 차례의 맞대결 모두 패하긴 했으나, DRX는 2025 시즌을 앞두고 리빌딩을 단행했다. 그 결과 VCT 퍼시픽 킥오프에서 우승을 거머쥔 만큼, 이번에는 다른 모습을 보여줄 가능성도 있다. 또한 두 팀의 대결에서 관건은 신규 요원인 ‘테호‘의 활용이 될 것으로 보인다. DRX는 VCT 퍼시픽 킥오프 기간 동안 ‘프링‘ 노하준에게 테호를 전담시키며 우승까지 차지했고, 센티널즈는 ‘존큐티(johnqt)‘ 모하메드 아미네 오우아리드가 테호를 13번이나 사용하며 아메리카스 준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T1은 발로란트 e스포츠에 국제 리그가 도입된 2023년 이래 두 번의 마스터스와 한 번의 챔피언스에 출전한 바 있지만 매번 아쉬운 성적으로 마무리했다. 2023년 도쿄에서 열린 마스터스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챔피언스, 2024년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마스터스 모두 그룹 스테이지를 통과하지 못했다.

부진을 털어내기 위해 T1은 2025년 스쿼드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경험이 풍부한 선수들을 대거 영입했다. 발로란트 e스포츠 1세대로 DRX 시절 마스터스와 챔피언스를 모두 뛰어본 적이 있는 ‘스택스‘ 김구택을 2024년 영입했으며, 2025년을 앞두고 ‘버즈‘ 유병철을 합류시켰다. 이에 더해 2024년 젠지가 마스터스 상하이를 제패 당시 활약했던 ‘메테오‘ 김태오도 영입한 바 있다.

T1의 첫 상대는 VCT EMEA에서 우승을 차지한 팀 바이탈리티다. 팀 바이탈리티에는 2024년까지 프나틱에서 활약하며 록//인 상파울루, 마스터스 도쿄 우승을 차지한 ‘더크(Derke)‘ 니키타 시르미테프와 라우드에서 뛰면서 챔피언스 이스탄불을 제패한 ‘레스(Less)‘ 펠리페 바쏘 등 베테랑들이 포진되어 있는 만큼, 쉽지 않은 상대가 될 전망이다.

20일부터 24일(일)까지 진행되는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2승을 먼저 거두는 팀이 상위 단계인 플레이오프 스테이지에 진출한다. 스위스 스테이지는 단계별로 승수와 패수가 같은 팀들이 대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1라운드에서 승리하면서 1승을 거둔 팀은 1승을 기록한 팀과 매치업이 형성되고, 1패한 팀은 다른 1패한 팀과 대결한다.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2승을 먼저 거둔 팀은 플레이오프 스테이지에 올라가고 2패를 당한 팀은 탈락한다. 

발로란트 마스터즈 방콕 전체 경기 일정 (사진제공: 라이엇게임즈)
▲ 발로란트 마스터즈 방콕 전체 경기 일정 (사진제공: 라이엇 게임즈)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발로란트 2020년 6월 2일
플랫폼
온라인
장르
FPS
제작사
라이엇 게임즈
게임소개
발로란트는 라이엇게임즈가 선보이는 FPS로, 5 대 5 팀전을 메인으로 삼는다. 가상의 미래를 기반으로 한 지구를 무대로 한다. 각기 다른 능력을 지닌 각국 캐릭터와 현대전을 연상시키는 각종 무기가 등장한다. 자세히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