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배깅이라는 단어가 있다. 주로 FPS나 TPS 같은 슈팅게임에서 적을 처치한 후, 그 위에 서서 앉았다 일어났다를 반복하는 동작으로, 비매너 행동이다. 다만, 게임에 따라서는 공식적으로 상대방을 모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지원하기도 한다. 당하면 자다가도 이불킥 할 정도로 굉장히 치욕스럽지만, 그것이 '나도 이겨서 저거 할거야' 라는 원동력을 주기에 나름 긍정적인 효과도 있다2024.09.05 14:41
-
게임업계에서 손오공은 단골 소재다. 서유기 자체가 동아시아권에서 워낙 유명하기도 하고, 특히 중국에서는 서유기가 삼국지와 함께 가장 유명한 소설 중 하나인데다 마스코트 삼기에도 좋기에 각종 게임에 까메오 식으로 굉장히 자주 출전한다. 해외 게임들이 중국에 출시할 때 손오공 캐릭터를 추가하는 건 이미 공식화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토록 많은 손오공 캐릭터 중 최강은 누구일까? 검은 신화: 오공 이전, 강력했던 손오공들을 한 자리에 모아 보았다2024.08.29 15:45
-
최근 AI를 활용한 기계번역이 활성화 되며, 수많은 게임들이 한국어를 지원하고 있다. 그 중에서는 게임 내 자막이나 인터페이스를 넘어, 스팀 현지화 설정을 이용해 제목까지 한국어로 써낸 작품들도 있다. 한국어 사용자라면 외국어 사이 한글 제목이 떡하니 보이니 반가울 수밖에 없는데, 간혹 고개가 갸우뚱해지는 제목들도 섞여 있다2024.08.22 16:30
-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만화를 꼽으라면 '도박묵시록 카이지'와 '맛의 달인', 이토 준지 공포 만화 시리즈, '꼭두각시 서커스' 등이 열 손가락 안에 꼽힌다. 위 만화들의 공통점은 그림체가 독특하다는 점이다. 흔히 말하는 미형 만화체가 아니기에, 처음 보는 사람들은 "그런 만화 왜 보냐"라며 면박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그림체의 장벽을 넘으면 명작이라 불리는 세계가 펼쳐진다. 게임 역시 마찬가지다2024.08.15 10:01
-
매년 8월 8일은 국내에서는 '무궁화의 날', 전세계적으로는 '세계 고양이의 날'이다. 굳이 고양이의 날이 아니더라도 고양이는 사랑스럽다. 귀여움을 똘똘 뭉쳐 숨을 후~ 불어넣은 생명체이기에 오래전부터 각종 미디어에 감초로, 혹은 주인공으로 등장하곤 했다. 게임 역시 마찬가지다. 고양이 그 자체부터 고양이 캐릭터, 혹은 고양이를 콘셉트로 한 인간까지 수많은 캐릭터가 고양이를 모티브로 삼았다2024.08.08 16:30
-
포켓몬 중에는 사람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도 있다. 주로 이름이 널리 알려진 유명인을 기반으로, 이와 어울리는 동물이나 캐릭터를 붙여넣는다. 그 중에는 대놓고 이름에서부터 모티브로 삼은 사람을 드러내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특정 인물과 너무나도 흡사한 경우도 존재한다. 오늘은 실존 인물을 닮은 포켓몬들을 한 자리에 모아 보았다2024.08.01 16:35
-
철권 시리즈의 주인공 중 하나인 미시마 헤이하치는 대전격투게임 사상 손에 꼽힐 정도로 유명한 아이콘적 존재다. 오죽하면 일반인들도 옆머리가 뻗친 탈모 헤어스타일을 두고 '헤이하치 컷'이라고 부를 정도니까. 그런 헤이하치가 철권 7 스토리 말미에서 아들인 카즈야에게 패해 사망했을 때, 많은 이들이 '헤이하치는 돌아올 것'이라며 그의 죽음을 믿지 않았다. 철권 5때도 죽음을 가장했던 터인지라 더더욱 그랬다2024.07.25 16:02
-
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중반. 국내 게임인구가 급속히 늘어나고 PC 온라인게임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수많은 게임용어가 생겨났다. 다만, 일부 게임용어는 시대 변화에 따라 유행성을 급격히 잃고 사어화 과정을 거치고 있다. 옛날엔 이 단어들을 쓰는 것만으로도 '신세대' 취급 받던 시기가 있었으나, 요즘 젊은이들은 더이상 쓰지 않는다2024.07.18 16:41
-
얼마 전 중국에서 새로운 거미 종이 발견됐다는 소식이 보도된 바 있다. 숲과 도시에 주로 자생한다는 이 거미는 회백색 몸통에 눈은 퇴화돼 있다는 특징으로 학명이 Otacilia khezu가 됐다고. Otacilia는 거미과에 속한 종이니 그렇다 치더라도, 그 아래 붙은 이름인 Khezu는 알 사람들은 알만한 이름이다. 몬스터 헌터에 등장하는 기괴룡 ‘푸루푸루’의 영문명이기 때문이다2024.07.11 18:00
-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게임 등에서는, 초중반에 무게감을 잡는 강력한 적이 등장한다. 어찌저찌 그를 쓰러뜨리고 나면 뭔가 비슷해 보이는 놈들이 뒤에서 음험하게 웃으며 "후후, 그 놈은 사천왕 최약체였다!" 라고 말하며 분위기를 잡는다. 이는 용사물의 정석적인 클리셰 중 하나다. 보통은 이야기의 단계적 긴장감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처음으로 무찌른 이를 최약체로 설정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장면들이다. 이제는 너무 진부패져 '소드마스터 야마토'에서 우스꽝스럽게 패러디 되곤 하지만 말이다2024.07.04 10:00
게임일정
2025년
04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