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테마 > 순정남

[순정남] 헐리우드 영화 안 부러운 '역대급' 게임 영상 TOP5

/ 1
※ [순정남]은 매주 이색적인 테마를 선정하고, 이에 맞는 게임을 골라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최근 ‘앵그리버드’와 ‘워크래프트’, ‘어쌔신 크리드’가 연달아 영화화되며, 게임 원작 영화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부쩍 늘었습니다. 벌써 누리꾼 사이에서는 ‘무슨 게임이 영화화하기에 딱’이라거나 ‘이 캐릭터는 꼭 그 배우가 연기해야 한다’는 등 흥미로운 담화가 오가고 있죠. 밤새 즐기던 게임 속 세계와 인물들을 극장에서 다시 만난다니, 확실히 매력적인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다만 작품 완성도에 따라 원작 팬들을 위한 깜짝 선물이 아니라, 추억을 짓밟는 폭탄이 되기도 합니다. 사실 수십 개에 달하는 게임 원작 영화 중에 원작 팬에게 호평을 받은 작품이 거의 없다시피 하죠. ‘슈퍼 마리오’부터 시작해서 ‘스트리트 파이터’, ‘맥스 페인’까지 원작 모독이라 할 정도로 참담한 졸작만이 즐비합니다.

이쯤 되면 팬들 사이에서 그냥 게임에 삽입되는 시네마틱 영상을 2시간 분량으로 개봉해달라는 성토가 나올 지경입니다. 물론 극장 개봉작과 게임 영상은 제작 목적부터 분량까지 확연히 다르긴 하지만, 영화화만 되면 원작의 느낌이 확 죽어버리니 달리 수가 있나요. 정말 시네마틱 영상의 감동을 2시간 동안 전해줄 게임 원작 영화는 없는지… 아쉬움을 담아 영화보다 멋진 ‘역대급’ 시네마틱 영상이나 한번 더 봐야겠습니다.

5위 ‘오버워치’ 첫 시네마틱 트레일러


▲ 새로운 영웅은 언제나 환영이야! ‘오버워치’ 첫 시네마틱 트레일러

5위는 최근 장안의 화제로 떠오른 온라인 FPS ‘오버워치’ 첫 시네마틱 트레일러입니다. 게임 제목이기도 한 ‘오버워치’는 한때 기계의 반란으로부터 인류를 지켰던 다국적 군사 조직으로 현대의 ‘영웅’이라 할만한 존재들이죠. 그러나 시간이 지나며 ‘오버워치’는 내부 불화와 외압이 뒤엉켜 와해되었고, 그 공백을 틈타 악의 세력이 활개치게 됩니다. 이에 옛 영웅들이 하나 둘 복귀한다는 것이 대략적인 배경설정이죠.


▲ 픽사풍 디자인은 모두에게 효과적으로 '오버워치'를 각인시켰습니다

2014년 공개된 ‘오버워치’ 첫 트레일러는 뭇 게이머에게 큰 충격을 줬습니다. 블리자드 특유의 ‘신화적인’, ‘피와 강철’, ‘근육질’은 사라지고, 한결 가벼운 분위기 속에 마치 ‘픽사’를 연상케 하는 만화풍 디자인을 선보였죠. 내용면에서도 ‘오버워치’가 추구하는 ‘영웅과 악당’ 이야기를 맛깔나게 담아 신규 IP를 성공적으로 데뷔시켰습니다. 비록 완성도는 나중에 나온 ‘소집’이나 ‘용’이 더 뛰어날지 모르나, ‘오버워치’를 대표하는 것은 이 첫 시네마틱 트레일러입니다.

4위 ‘데이어스 엑스: 휴먼 레볼루션’ 감독판 시네마틱 트레일러


▲ 게임 분위기를 잘 표현한 ‘데이어스 엑스: 휴먼 레볼루션’ 트레일러

4위는 2011년작 FPS ‘데이어스 엑스: 휴먼 레볼루션’ 감독판 시네마틱 트레일러입니다. 게임은 사이버네틱스 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2027년을 배경으로, 의문의 습격으로 애인을 잃고 사이보그가 된 전직 특수부대원 ‘아담 젠슨’의 이야기를 그립니다. 기술적 풍요를 누리는 미래를 르네상스 콘셉으로 화려하게 포장하면서 한편으로 암울한 사회상을 은근히 드러내는 묘사가 일품이죠.



▲ 사이퍼펑크 마니아라면 당장 게임을 구입하지 않고는 못 배길 정도

감독판 시네마틱 트레일러는 이처럼 어딘가 뒤틀려버린 세계관을 효과적으로 담아냈습니다. 인체를 기계로 대체하는 것을 인공 날개로 태양에 닿으러 한 ‘이카로스’에 빗대어, 사이보그 시술에 대한 묵직한 메시지를 던지죠. 화면 가득 펼쳐진 미래도시와 온갖 기계 병기는 ‘이것이 진정한 사이버펑크다’라고 말하는 듯 합니다. 아, 훌륭한 배경음악과 나레이션도 빼놓을 수 없겠죠. 단 5분으로 주인공과 그를 둘러싼 세계, 나아가 게임 전체를 기대하게 만드는 영상입니다.

3위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론치 시네마틱 ‘어 나이트 투 리멤버’


▲ 아름다운 노래가 어우러진 '더 위쳐 3' 시네마틱 '어 나이트 투 리멤버'

3위는 2015년 최고의 게임으로 꼽히는 오픈월드 RPG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론치 시네마틱 ‘어 나이트 투 리멤버(A Night To Remember)입니다. 3부작으로 제작된 ‘더 위쳐’는 전문적인 괴물사냥꾼 ‘게롤트’가 자신의 잃어버린 기억과 사라진 연인 ‘예니퍼’를 추적하며 겪는 일련의 사건을 보여줍니다. 종족간 불화가 팽배하고 전쟁의 위험이 상존한 음울한 판타지 세계에서, 고독하게 괴물과 맞서 싸우는 ‘게롤트’의 여정에 많은 이들에 흠뻑 빠져들었죠.



▲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성인 게이머를 위한 판타지 게임이죠

시디프로젝트레드는 아직 소규모 개발사였던 ‘더 위쳐 1’ 시절부터 시네마틱 영상에 심혈을 기울이는 것으로 유명했죠. 그간 여러 영상이 나왔지만, 그 중에서도 걸작을 하나 꼽으라면 바로 이 ‘어 나이트 투 리멤버’입니다. ‘게롤트’가 한 흡혈귀를 사냥하는 내용으로, 마치 옛 이야기를 읊조리는 듯한 배경음악이 인상적이죠. 박력 넘치는 액션신임에도 왠지 모르게 서정적으로 느껴지는 독특한 작품입니다. 괴물사냥꾼 ‘위쳐’에 삶을 이보다 잘 표현할 수는 없겠죠.

2위 ‘(구)파이널 판타지 14’ 엔딩 시네마틱 ‘엔드 오브 언 에라’


▲ '(구)파이널 판타지 14' 서비스 종료와 함께 공개된 '엔드 오브 언 에라'

2위는 2012년 서비스 종료된 MMORPG ‘(구)파이널 판타지 14’ 엔딩 시네마틱 ‘엔드 오브 언 에라’입니다. ‘파이널 판타지 14’는 시리즈 후광을 등에 업고 2010년 야심 찬 첫 발을 내디뎠습니다. 그러나 얼마 못 가 미흡한 완성도에 심각한 서버 문제까지 드러나며 성적이 곤두박질 졌죠. 발등에 불이 떨어진 스퀘어에닉스는 추가 인력을 대거 투입하여 게임을 바닥부터 뜯어고치기로 합니다. 유저들에게는 그저 ‘파이널 판타지 14’가 문을 닫는다고만 알리고 말이죠.



▲ 멸망해가는 세계가 압도적이면서도, 일견 서정적으로 묘사됩니다

단순히 서비스만 종료하는 게 아니라 그에 맞춰 실제로 세계가 종말로 치닫는 시나리오가 전개됐습니다. 이러한 설정에 흥미를 느낀 많은 유저가 ‘파이널 판타지 14’의 끝을 보러 접속했죠. 그렇게 운명이 날이 밝아, 서비스 종료와 함께 공개된 것이 엔딩 시네마틱 ‘엔드 오브 언 에라’입니다. 영웅들의 분전에도 불구하고 끝내 모든 것이 소멸하는 장엄한 광경과 ‘바하무트’의 거대한 힘이 화면 너머로까지 전해지죠. 판타지 게임에서 흔히 보기 힘든 ‘불가항력적인 종말’을 느껴볼 수 있는 소중한 영상입니다.

1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리치왕의 분노’ 오프닝 시네마틱


▲ 수많은 블리자드 시네마틱 가운데 손꼽히는 명작 '리치왕의 분노' 오프닝

게임 시네마틱 영상을 만드는데 있어서 블리자드는 독보적인 노하우를 지니고 있습니다. 일찍부터 영상 제작에 주력하여, 98년작 ‘스타크래프트’ 당시에 이미 수준 높은 작품을 선보였죠. 그 후로 이제껏 셀 수 없이 많은 게임과, 그보다 더 많은 시네마틱 영상을 만들며 기술을 발전시키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블리자드가 내놓은 수많은 영상 가운데 왕중왕은 무엇일까요?



▲ 이 영상 하나로 '왕자 아서스'는 사라지고, 망자의 군주 '리치 왕'만이 남았죠

물론 보는 이의 취향에 따라 답이 갈릴 수밖에 없겠지만, 그래도 꼭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역시 ‘리치왕의 분노’ 오프닝 시네마틱일겁니다. ‘워크래프트 3’ 진정한 주인공 ‘아서스’가 비극의 왕자에서 고고한 ‘리치왕’으로 완전히 각성했음을 천명한 영상이죠. 왕의 만수무강을 노래하는 배경음악과 선왕 ‘테레나스’의 나레이션이 ‘리치왕’이 된 ‘아서스’와 극적인 대비를 이룹니다. 어느덧 공개된 지 8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영상은 너무나 아름답고, 장면 하나하나가 보는 이를 압도합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플랫폼
온라인
장르
MMORPG
제작사
블리자드
게임소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두 번째 확장팩 '리치왕의 분노'에는 첫 번째 영웅 클래스 '죽음의 기사'가 등장한다. 춥고 접근이 어려운 노스렌드 대륙이 등장하며 새로운 기술과 능력, 공성 차량과 파괴 가능한 건물을... 자세히
김영훈 기자 기사 제보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