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뷰/리뷰 > 프리뷰 >

우리가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전혀 새로운 MMORPG!

/ 1

DDO(던전 앤 드래곤 온라인)에 이어 새로운 해외 게임이 국내에 서비스 된다. 과거 <에쉬론즈 콜>이나 <다크 에이지 오브 카맬롯> 등 해외의 굵직한 온라인 게임들이 실패의 쓴 잔을 마시고 돌아섰던 한국 시장에, 해외 게임들의 재진입은 주목해 볼만한 일이다.

이번에 ‘프록스터 스투디오즈’에서 한국 서비스를 결정한 주인공은 현재 해외에서 클로즈베타테스트 중인 <스펠본 연대기 (The Chronicles of Spell Born 이하 스펠본)>이다. 보통 해외 게임이라고 하면 게임 방식에 있어 국내 온라인 게임들과 안드로메다만큼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보통이다. 솔직히 스펠본 역시 그렇다. 하지만 ‘한국형 MMORPG’라는 불리는 게임들이 땅따먹기를 벌이고 있는 국내 시장에 신선한 반향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하리라 예상된다. 그렇다면 스펠본의 어떤 점이 지금까지 우리가 봐왔던 게임들과 다른 것일까?

ormoburu_general_big.jpg

전혀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낸 ‘데드스펠 스톰’
스펠본의 세계는 어둡고 암울한 중세 유럽풍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검과 마법이 존재하며 괴물들 역시 존재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끝이 아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샤드(Shard)’라는 지형이다. 스펠본의 세계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지구나 달 같은 구체모양의 행성이 아니다. ‘데드스펠 스톰(The Deadspell Strom)’이라는 강력한 폭풍에 의해 고대의 세계(Ancestor World)가 파괴되었고, 그로 인해 생물체들은 공중에 떠 있는 바위로 이루어진 샤드에서 삶을 꾸려나가게 된다. 이 샤드들은 마치 우리가 우주에서 볼 수 있는 소행성과 비슷하게 생겼다. 현재 알려진 샤드는 다섯 개뿐이지만 사람들은 알려지지 않은 미지의 샤드가 더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Shardship.jpg

quarterstone_street_big.jpg

▲ 스펠본의 세계는 '데드스펠 스톰'이라는 강력한 폭풍에 의해 파괴되었다. 이로인해 샤드(거주지)로 불리는 '소행성'모양의 지역이 생겨났고, 생명체들은 이 샤드에서 삶을 이어가고 있다

처음부터 스펠본의 세계가 이처럼 황량하게 흩어져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어떤 이유에선가 데드스펠 스톰이 불어닥쳤고 세계는 산산히 분해됐다. 살아남은 인간들은 각각의 샤드에서 살아남기 위해 새로운 문명을 만들기 시작했다. 때문에 각 샤드는 서로 다른 문명을 가지고 있다. 이를 ‘다섯 희생물의 고립된 거주지(The Enclave of the Five Sacrifices)’라고 불렀다(이 다섯 지역을 일반적으로 Enclave:고립된 거주지라고 부른다).

quarterstone_shop_big.jpg

quarterstone_palace_big.jpg

▲ 알려진 다섯 개의 샤드에는 각각 '하이 하우시스'라고 불리는 정치 세력이 생겨나 사람들을 다스렸다. 처음에는 동맹으로써 좋은 관계를 유지했지만 후에는 서로의 이득을 위해 대립하게 된다

시간이 흐르자 각 샤드(거주지)에는 ‘하우시스(The High Houses)’라고 불리는 정치 세력이 등장해 사람들을 다스렸다. 현재 알려진 샤드는 다섯 개였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들을 가르켜 ‘더 파이브 하이 하우시스(The Five High Houses)’라고 불렀다. 다섯 샤드의 하이 하우시스는 서로 동맹을 맺고 데드스펠 스톰이 불어닥치는 세계에서 살아가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처음엔 이 동맹은 효율적으로 잘 운영됐다. 하지만 정말 인간은 과욕의 동물인가? 시간이 흐르자 각 하이 하우스는 서로의 이득을 위해 대립하기 시작했다. 이런 혼란스러운 다섯 샤드 외에 새로운 샤드가 있을 것이라 믿고 여행을 떠나는 이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ormoburu_general2_big.jpg

ormoburu_large.jpg

▲ 사람들은 아직 알려지지 않은 미지의 샤드가 있을 것이라 굳게 믿고 있다. 그리고 새로운 샤드를 찾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이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스펠본의 재미는 액션과 탐험!
이제 스펠본을 플레이하면서 우리가 어떤 재미를 느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스펠본의 가장 큰 특징은 액션성 넘치는 전투다. 적과 대치한 상태에서 우리가 흔히 보아왔던 MMORPG처럼 한 자리에 서서 스킬을 쓰고, 맞고 때리는 식의 전투가 아니다. 캐릭터를 이리저리 움직이며 연계기(체인-콤보)를 통해 마치 콘솔 게임의 액션게임 같은 맛을 느낄 수 있다.

spellbron-1.jpg

▲ 스펠본에서는 연계기(체인-콤보)를 게이머의 취향대로 구성할 수 있는 '스킬 덱(Skill Deck)'이 존재한다. 자신의 파이팅 스타일에 맞추어 다양한 스킬덱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스펠본의 액션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스킬 연계기(체인-콤보)’다. 우리가 <철권>시리즈에서 봐왔던 ‘10단 콤보’처럼 적에게 연계기 스킬을 먹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이 스킬 연계기를 게이머가 직접 원하는 스타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스펠본에는 ‘스킬 덱(Skill Deck)이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흔히 덱이란 단어는 <판타지 마스터 택틱스>같은 TGC에서 쓰이는 말로 자신의 카드 스타일을 나타낼 때 쓰인다(치료마법 위주의 ‘백마법 카드덱’처럼). 스펠본도 카드의 덱처럼 스턴 연계기, 데미지 딜링 연계기, 광역 스킬 연계기 같은 수십 개의 스킬을 조합해 게이머가 원하는 스타일의 전투를 치룰 수 있도록 연계기를 구성할 수 있다.

spellbron-0.jpg

spellbron-2.jpg

▲ 연계기의 시작을 알리는 '오프너'스킬과 끝을 맺는 '피니셔'스킬이 따로 존재한다. 스킬창을 회전시켜 빠른 연계기 교체가 가능하다

또 하나의 특징은 서사적인 퀘스트 라인이다. 게임의 제목에 ‘연대기’라는 단어가 들어간다는 것만 봐도 스토리 라인이 풍부한 게임이란 것을 엿볼 수 있다. 스펠본의 퀘스트는 일반적인 국내 MMORPG의 퀘스트처럼 ‘가서 고블린 100마리 잡아오세염’이라고 말하는 단순 반복 퀘스트가 아니다. 앞서 이야기한 데스스펠 스톰을 중심으로한 세계의 창조에서부터 현재의 다섯 하이 하이시스의 대립, 더 나아가 미래를 아우르는 웅장한 이야기들을 퀘스트를 통해 직접 만나 볼 수 있다.

즉,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교차점에서, 게이머가 듣고 말하는 모든 모험이 곧 스펠본의 역사가 되는 것이다. 이런 점은 이야기 자체만으로도 큰 호평을 받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퀘스트 스타일과 닮아있다고 볼 수 있다.

shot_4_fields_big.jpg

labyrinth_big.jpg

▲ 데스스펠 스톰을 중심으로한 과거의 세계창조에서부터 현재의 다섯 하이시스의 대립, 더 나아가 미래를 아우르는 웅장한 이야기들을 퀘스트를 통해 직접 만나 볼 수 있다

이것만은 알아두자. 스펠본의 특징은 바로 이것!
스펠본의 캐릭터 슬로건은 ‘쉽게 배울수 있지만, 마스터하기는 어렵다’다. 이는 우리에게 익숙한 <디아블로2>의 클래스를 떠 올리면 될 것이다. 말하자면 같은 클래스라도 능력치, 스킬트리에 따라 무궁 무진한 캐릭터 창조가 가능한 방식인 것이다.

parliament_bear2_big.jpg

parliament_forest_big.jpg

▲ 스펠본에서는 전투를 얼마나 잘 수행했는가에 따라 보너스를 받을 수도, 혹은 불이익을 당할 수도 있다

스펠본의 특징 중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모든 능력치들이 전투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다. 쉽게 말하면 전투를 얼마나 잘 수행했는가에 따라 보너스를 받을 수도, 혹은 불이익을 당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스펠본에는 경험치와 구분되는 ‘랭크’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전투에서 죽지 않고 오랫동안 전투를 수행하면 랭크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능력치에 보너스를 받게 된다. 하지만 캐릭터가 사망하게 되면 페널티는 없지만 랭크는 다시 초기화 되어버린다. 결국 앞서 이야기한 자신만의 연계기와 스킬덱, 컨트롤 능력을 백분 발휘해 얼마나 적을 잘 해치우는가가 스펠본의 전투 포인트다.

shot_8_creature_big.jpg

spellborn_pre_animation_demon_horse.jpg

▲ 결국 연계기와 스킬덱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사용하느냐가 스펠본 전투의 관건인 것이다

결과적으로 전투에서 얼마나 오래 살아남는가에 따라 캐릭터의 모든 능력치들이 변하며, 전투에서 더 많은 이득을 얻기 위해선 연계기와 스킬덱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사용하느냐가 관건인 것이다.

labyrinthkeyholder.jpg

Ormoburu.jpg

스펠본의 클래스
스펠본의 클래스스펠 본의 직업은 상위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로 나뉘어 진다. 상위 클래스는 워리어, 캐스터, 로그로 나뉘어 지는데 각 상위 클래스는 세 개의 하위 클래스를 가지고 있다. 하위 클래스는 각각 독특한 능력을 가지고 있어 팀플레이에서도 충분히 재미있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워리어

블러드워리어

워리어 캐릭터 가장 강력한 육체를 가졌으며 근접 전투시 유리하다.

퓨리해머

무술의 연마가로써 민첩하며 특별한 시야를 타고났다. 리더십이 뛰어나며 파티를 이끄는데 유리하다.

챔피언

고대의 힘을 신봉하고 따르는 신봉자로써 과거의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워리어의 영혼과 소통할 있다.

캐스터

메이지

강력한 파괴마법을 휘두르는 캐릭터로 그들은 자신들 또는 남의 능력을 증가시키는 (Rune) 만들기도 한다.

앤세스트럴 메이지

체력적인 면에서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지 않으나, 마법능력으로 동지들의 능력을 강화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오라클 디사이플

남의 마법을 중화시키거나 역으로 반사하는 등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 상처를 꿰매기도 하고 마법으로 동료 힘을 강화시키기도 한다. 반대로 적의 힘을 약화시키는 능력이 있다.

로그

트릭스터

섬세하고 민첩한 전투가로써 환각을 만들어 내어 적을 교란시키기도 한다. 또한 작은 도구 만들어 그들의 능력을 극대화 시키거나 적을 혼란에 빠뜨릴 수도 있다. 매우 빠른 이동속도를 자랑한다.

페이스 댄서

외관을 바꾸는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매우 치명적인 암살자의 역할도 수행한다. 다양한 전투력과 스킬을 구사하기도 하며 도적질에 뛰어난 직업이다.

데드핸드

독극물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포함한 강력한 스킬들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적을 번에 상대하는 전투에 유리하다.

warriorguy.jpg

woman.jpg

rogue.jpg

rogue_female.jpg

새로운 게임 코드를 기다리며
필자는 가끔 현재 국내 온라인 게임시장이 암흑기인지 전성기인지 구분이 되지 않을 때가 있다. 물론 수적인 면에서 지금은 풍요로운 시기다. 하지만 게임의 재미면에선 어떨까? 과연 과거보다 나아졌다고 말할 있을까? 이런 일수록 우리에겐 프론티어(개척자)’ 필요하다. 새로운 재미, 새로운 코드, 새로운 방식을 보여줄 그런 게임들이 많아졌으면 한다. 그것이 국산 게임이든, 해외 게임이든 말이다. 스펠본이 지금까지 국내에 없던 새로운 게임 코드를 들고 나온 게임인 만큼 유능한 개척자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female_shard.jpg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플랫폼
온라인
장르
MMORPG
제작사
게임소개
스펠본 연대기는 데드스펠 스톰(The Deadspell Storm)이라고 불리는 폭풍으로 파괴된 고대의 세계에서 생존한 주민들의 도전과 치열한 전쟁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네덜란드 개발사에서 언리얼 엔진을 이용해... 자세히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4
06